인플루엔자닫기
개요
인플루엔자는 매년 겨울철에 유행하여 건강인에서 업무상의 차질을 일으키고 노인, 만성질환자, 영유아, 임산부 등 고위험군에서 이환률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질환
원인
  • - 원인병원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 B, C)
  • - 감염경로: 비말매개감염으로 전파됨
증상
  • - 잠복기: 1~4일(평균 2일)
  • - 증상 시작 1일전부터 발병 후 5일까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
  • - 임상증상: 38°C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 인후통,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
진단
  • - 임상 및 역학적 진단
  •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검체 등에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특이 항체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또는 인플루엔자 특이항체 확인
치료
  • - 대증치료
  • - 인플루엔자 특이 항바이러스제 투여: 고위험군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예방
  • - 인플루엔자 백신
    • 70~90%의 예방효과
    • 노인:독감 예방, 폐렴에 의한 입원 방지, 사망 예방
    • 인플루엔자 우선 접종 대상자

      :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만성간질환자, 만성신질환자, 신경-근육 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면역저하자(항암제 등 약제에 의한 경우, HUIV 감염 등),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

    • 65세 이상의 노인
    • 의료인
    • 만성질환자,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자
    • 0~59개월 유아와 함께 거주하거나 돌보는 경우
    • 임신부

      : 50세~64세 성인
      : 생후 6개월~59개월 소아

  • - 예방접종
    • 생후 6개월~만 8세 소아:1또는 2회 접종
    • 만9세 이상~성인: 1회 접종
  • - 예방적 화학요법
    • 대상

      항바이러스제의 노출 전 예방적 사용은 중증의 합병증이 우려되는 사람(장기 이식병동입원 환자, 심각한 면역 저하 환자, 신생아실 입원 중인 신생아 등)에서 백신 사용이 어렵거나 백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행함
      항바이러스제의 노출 후 예방적 사용은 고위험군 노출자에 국한하여 사용함

    • 방법: 노출 전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는 유행기간 동안 복용, 노출 후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는 10일간 투여
치료
  • - 대증치료
  • - 인플루엔자 특이 항바이러스제 투여: 고위험군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 유행특성 및 신고주기에 따라 발생통계를 절기/주별 단위로 제공 조회기간 2022~2025년
  • 2022-2023 절기
  • 2023-2024 절기
  • 2024-2025 절기
인플루엔자 통계자료 그래프
  • 구분(전체)
  • 2022-2023 절기
  • 2023-2024 절기
  • 2024-2025 절기
  • 36주
  • 37주
  • 38주
  • 39주
  • 40주
  • 41주
  • 42주
  • 43주
  • 44주
  • 45주
  • 46주
  • 47주
  • 48주
  • 49주
  • 4.7
  • 5.1
  • 4.7
  • 4.9
  • 7.1
  • 7.0
  • 6.2
  • 7.6
  • 9.3
  • 11.2
  • 13.2
  • 13.9
  • 15.0
  • 17.3
  • 11.3
  • 13.1
  • 17.3
  • 20.8
  • 14.6
  • 15.5
  • 18.8
  • 32.6
  • 39.0
  • 32.1
  • 37.4
  • 45.8
  • 48.6
  • 61.3
  • 6.1
  • 5.1
  • 6.0
  • 4.6
  • 3.8
  • 3.9
  • 3.9
  • 3.9
  • 3.9
  • 4.0
  • 4.6
  • 4.8
  • 5.7
  • 7.3
  • 50주
  • 51주
  • 52주
  • 53주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10주
  • 30.3
  • 41.9
  • 55.4
  • 60.7
  • 52.5
  • 40.2
  • 28.3
  • 25.6
  • 17.0
  • 15.2
  • 15.0
  • 11.6
  • 11.9
  • 11.7
  • 54.1
  • 43.3
  • 49.9
  • -
  • 52.2
  • 44.8
  • 36.9
  • 30.3
  • 27.2
  • 27.3
  • 24.3
  • 17.9
  • 14.8
  • 12.8
  • 13.6
  • 31.3
  • 73.9
  • -
  • -
  • -
  • -
  • -
  • -
  • -
  • -
  • -
  • -
  • -
  • 11주
  • 12주
  • 13주
  • 14주
  • 15주
  • 16주
  • 17주
  • 18주
  • 19주
  • 20주
  • 21주
  • 22주
  • 23주
  • 24주
  • 11.7
  • 13.2
  • 14.5
  • 15.2
  • 18.5
  • 19.9
  • 23.0
  • 23.7
  • 23.4
  • 25.7
  • 25.7
  • 21.5
  • 18.1
  • 15.7
  • 15.1
  • 13.8
  • 14.0
  • 13.8
  • 12.2
  • 11.0
  • 9.9
  • 8.5
  • 7.9
  • 7.7
  • 7.5
  • 7.3
  • 6.9
  • 6.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26주
  • 27주
  • 28주
  • 29주
  • 30주
  • 31주
  • 32주
  • 33주
  • 34주
  • 35주
  • 21.5
  • 18.1
  • 15.7
  • 15.0
  • 16.1
  • 16.3
  • 16.9
  • 17.3
  • 15.0
  • 14.1
  • 12.5
  • 12.0
  • 10.6
  • 10.0
  • 7.3
  • 6.9
  • 6.3
  • 6.1
  • 6.4
  • 6.5
  • 7.0
  • 6.8
  • 7.6
  • 8.9
  • 10.2
  • 10.2
  • 9.9
  • 7.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전
다음
수족구병닫기
정의
-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원인
  • - 직접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
  • -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파 가능
  • - 전파의 위험이 높은 장소 : 가정(감염자가 있는 경우), 보육시설, 놀이터, 병원, 여름캠프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
잠복기
  • - 3 ~ 7일
증상
  • - 전신증상 : 발열, 식욕감소, 무력감
  • - 위장증상 : 설사, 구토
  • - 발진/수포(물집) : 주로 입, 손, 발, 영유아의 경우 기저귀가 닿은 부위
치사율
  • - 일반적으로 0.1%미만
  • - 엔테로바이러스 71형으로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등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치사율이 높음
치료
  • - 해열 진통제로 증상을 완화, 탈수로 인한 수분보충등 대중요법
관리
  • - 환자관리 :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
  • - 접촉자관리 : 발병을 감시하며, 발병시 자가 격리
예방
  •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전 후, 기저귀 교체전 후
    • 특히 산모, 소와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 기침예절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고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하기
  •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남감, 놀이기구, 집기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 유행특성 및 신고주기에 따라 발생통계를 절기/주별 단위로 제공 조회기간 2022~2024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수족구병 통계자료 그래프
  • 구분(전체)
  • 2022년
  • 2023년
  • 2024년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10주
  • 11주
  • 12주
  • 13주
  • 14주
  • 0.3
  • 0.3
  • 0.3
  • 0.3
  • 0.2
  • 0.2
  • 0.1
  • 0.2
  • 0.2
  • 0.0
  • 0.2
  • 0.1
  • 0.1
  • 0.2
  • 0.5
  • 1.0
  • 1.5
  • 1.0
  • 1.0
  • 1.0
  • 0.6
  • 0.5
  • 0.6
  • 1.1
  • 0.8
  • 1.4
  • 1.1
  • 2.0
  • 1.6
  • 0.9
  • 1.1
  • 1.3
  • 1.0
  • 1.0
  • 1.2
  • 1.5
  • 1.1
  • 0.7
  • 0.8
  • 0.9
  • 1.7
  • 1.6
  • 15주
  • 16주
  • 17주
  • 18주
  • 19주
  • 20주
  • 21주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26주
  • 27주
  • 28주
  • 0.2
  • 0.3
  • 0.2
  • 0.2
  • 0.5
  • 0.7
  • 0.6
  • 0.8
  • 0.7
  • 0.9
  • 1.6
  • 2.5
  • 5.3
  • 10.0
  • 2.9
  • 3.9
  • 5.6
  • 7.9
  • 9.8
  • 15.7
  • 15.7
  • 18.5
  • 16.4
  • 16.9
  • 14.7
  • 14.1
  • 17.0
  • 17.1
  • 2.6
  • 3.0
  • 5.9
  • 5.0
  • 5.2
  • 8.0
  • 14.0
  • 22.3
  • 28.3
  • 32.1
  • 41.8
  • 40.5
  • 44.1
  • 47.3
  • 29주
  • 30주
  • 31주
  • 32주
  • 33주
  • 34주
  • 35주
  • 36주
  • 37주
  • 38주
  • 39주
  • 40주
  • 41주
  • 42주
  • 13.5
  • 16.7
  • 19.8
  • 24.9
  • 25.5
  • 35.7
  • 32.1
  • 38.4
  • 35.5
  • 28.7
  • 20.5
  • 19.2
  • 12.7
  • 8.2
  • 20.6
  • 19.5
  • 16.0
  • 16.5
  • 17.9
  • 15.4
  • 13.7
  • 13.0
  • 13.0
  • 12.7
  • 12.1
  • 8.5
  • 5.6
  • 4.0
  • 55.5
  • 51.2
  • 45.0
  • 32.7
  • 33.1
  • 21.4
  • 18.5
  • 17.9
  • 13.4
  • 14.0
  • 7.5
  • 5.8
  • 3.6
  • 3.0
  • 40주
  • 41주
  • 42주
  • 43주
  • 44주
  • 45주
  • 46주
  • 47주
  • 48주
  • 49주
  • 50주
  • 51주
  • 52주
  • 53주
  • 19.2
  • 12.7
  • 8.2
  • 5.5
  • 4.1
  • 3.9
  • 2.5
  • 2.6
  • 2.5
  • 2.0
  • 1.7
  • 1.2
  • 0.8
  • 0.5
  • 8.5
  • 5.6
  • 4.0
  • 3.4
  • 2.8
  • 3.0
  • 2.1
  • 1.5
  • 1.3
  • 0.9
  • 1.1
  • 1.1
  • 0.9
  • -
  • 5.8
  • 3.6
  • 3.0
  • 3.6
  • 3.1
  • 2.8
  • 3.3
  • 3.1
  • 3.7
  • 1.9
  • 1.4
  • 1.1
  • 1.1
  • -
이전
다음
중증급성호흡기감염병닫기
-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는 2002년 겨울 중국에서 발생이 시작된 이래 수 개월 만에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신종전염병으로, 사스의 원인 병원체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associated coronavirus)이다.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세 개의 항원군(Ⅰ,Ⅱ,Ⅲ)으로 분류 되어 왔는데, SARS-coV는 유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군에 속하는 coronavirus로 밝혀졌다. SARS-coV는 동물 숙주 coronavirus 변종에 의해 동물로부터 사람으로 종간의 벽을 넘어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기본적인 전파 경로는 환자의 호흡기 비말이나 오염된 매개물을 통해 점막의 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사스 환자의 많은 부분은 환자의 가족 및 접촉자, 진료에 참여한 의료인에서 발생하였다. 일장적인 접촉으로 전파된 예는 드물지만 직장, 비행기, 또는 택시에서의 접촉으로 인한 발생도 보고되었다. 항문-구강 경로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변으로 다량의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점, 설사가 흔한 증상이라는 점 등은 이 경로가 병의 전파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사스 역학적 특징
  • : 병원감염이 사스 유행의 특징이다.
  • : 환자의 대부분은 성인이며, 소아에서도 드물게 발병했다.
  • : 평균 잠복기는 4일~6일이다.(2∼10일, 더 길게 보고된 경우도 있음)
  • : 발병 전에 전파된 사례는 보고된 적이 없다.
발병 첫째주
  • - 처음에는 인플루엔자 의사 증상이 발생한다.
  • - 주요 증상은 발열, 권태감, 근육통, 두통, 오한 등이며, 특이적인 증상이나 증후는 없다.
  • 발열이 가장 흔한 증상이지만, 초기에 발열이 없을 수도 있다.
발병 둘째주
  • - 기침(초기에는 객담없는 마른 기침), 호흡곤란, 설사가 발병 첫 주에도 나타날 수도 있지만, 발병 2주째에 흔하게 나타난다. 콧물이나 인후통 등의 상기도 증상은 흔하지 않다.
  • - 중증 환자는 급속히 호흡부전이 진행되어 약 20%에서는 집중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산소부족을 겪게 된다.
  • - 많은 환자에서 혈액 또는 점액이 없는 대량 수양성 설사 증상을 호소했다.
  • - 전염은 주로 두번째 주에 발생한다.
노인, 소아, 임신부의 사스
  • - 노인 : 발열이 없거나 혹은 세균성 패혈증/폐렴이 동반되는 등 비전형적인 증상이 문제가 되었다. 만성질환이 있고 보건의료기관을 자주 이용함에 따라 병원감염으로 전염될 가능성이 컸다.
  • - 소아 : 사스가 비교적 적게 발생하였고, 증상도 경미하였다.
  • - 임산부 : 사스에 감염되면 임신초기에는 유산이 될 수 있으며, 임신후기에는 모성사망을 증가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결과
캐나다, 중국,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미국의 자료 분석에 의하면 사스의 치명률은 연령군에 따라서 0%에서 50%이상으로 추정되며, 전반적인 사스 치명률은 약 11%로 추정된다. 치명율이 높은 경우는 남자,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이다.
방사선 소견
대부분 환자들은 발병초기 3-4일에 호흡기 증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흉부방사선 또는 CT소견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전형적인 소견으로는 일측성 말초부위에 반점형 경화(patchy consolidation)소견을 보이다가 다발성 병변 또는 젖빛유리모양(ground-glass appearence) 소견을 보인다. 일부 부위는 편위(shifting)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발병 후기에는 가끔 자연적 기흉, 기중격동(pneumomediastinum),흉막하 섬유증(sub-pleural fibrosis) 그리고/혹은 낭성변화(cyctic change)를 보인다.
혈액학적, 생화학적 소견
사스에 특이적인 혈액학적 또는 생화학적 지표는 없다. 혈액학적 소견으로는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이 가장 흔한 소견이며, 발병기간동안 진행된다. 때로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과 aPTT 지연 소견이 관찰된다. 생화학 검사에서는 흔히 LDH가 증가하며, 일부 보고에서는 LDH 증가가 불량한 예후와 관련있다고 제시한바 있다. ALT, AST, CPK의 상승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칼슘혈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혈청전해질이 증상 발현 동안 혹은 입원기간동안 보고된다.
사스 발생이 없는 단계 사례정의
  • - 추정환자(Probable case)
  • - 임상적 기준에서 다음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서
    • 발열(≥38°C)이 있으면서 (AND)
    • 하부 호흡기증상(기침, 호흡곤란, 숨참)이 1개 이상 있으면서(AND)
    • 방사선소견상 폐렴 또는 호흡곤란증후군(RDS)에 부합되는 폐침윤소견이 있거나(OR),부검 소견상 특별한 원인없이 폐렴 또는 호흡곤란증후군(RDS)의 병리소견을 보이면서(AND)
    • 해당 질환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진단이 없는 경우
  • - 실험실적 기준이 양성인 경우
사스발생단계(사스 주의/경보/비상단계)의 사례정의
  • - 추정환자(Probable case)다음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 - 임상적 기준에서 원인불명의 중증 호흡기질환을 보이며
    • 38도 이상 발열이 있으면서(AND)
    •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저산소증)이 하나 이상 있으면서(AND)
    • 다음중 1개 이상의 소견이 있는 경우
      1. 1.방사선학적으로 폐렴 소견이 있거나
      2. 2.호흡부전증(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이 있거나
      3. 3.특별한 원인없이 폐렴이나 호흡부전증에 부합하는 부검소견을 보이는 경우
  • - 역학적 기준을 충족하며
    • 발병전 10일이내에 사스감염위험지역의 여행력(환승 포함)이 있거나(OR)
    • 발병전 10일이내에 사스 환자 또는 의심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 - 실험실적 기준이 양성 또는 미확인(검사를 하지 않았거나 진행중인 경우)
의심환자(Suspect cases)
  • - 다음 2가지 기준을 충족할 경우
  • - 임상적 기준에서 원인불명의 중등증 호흡기질환을 보이며
    • 38도 이상 발열이 있으면서(AND)
    • 호흡기질환 임상소견(기침, 호흡곤란, 저산소증)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
  • - 역학적 기준을 충족하며
    • 발병전 10일이내에 사스감염위험지역의 여행력(환승 포함)이 있거나 (OR)
    • 발병전 10일이내에 사스 환자 또는 의심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 - 실험실적 기준이 양성 또는 미확인(검사를 하지 않았거나 진행중인 경우)
    • 실험실적 사례정의(Laboratory case definition of SARS) : 양성
    • 임상적으로 사스가 의심되면서 다음의 실험실적 진단기준에서 1개 이상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 - PCR 양성 : 정확한 방법에 의해 PCR이 양성인 경우
    • 적어도 두종류의 다른 임상검체에서 양성이거나(예를들어 비인두도말과 대변)
    • 동일한 임상검체에 대해 질병의 이환기간 동안 2회 이상 양성이거나
    • 원래의 임상검체에서 추출한 새로운 RNA추출물을 이용하여 PCR을 반복검사하거나 두가지 다른 분석법을 사용한 경우
  • - 혈청검사 양성(Seroconversion by ELISA or IFA)
    • 급성기 혈청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양성으로 양전되었거나
    •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한 경우
  • - 바이러스 분리(Virus isolation)
    • 임상검체의 세포배양검사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AND PCR 확인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질병관리청은 사스 진단을 위해 PCR, 항체검사(IFA), 바이러스 분리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진단을 위해 검체의뢰를 할 경우 질병관리청 인플루엔자바이러스팀으로 문의하여야 한다.(02-380-2101)
· 유행특성 및 신고주기에 따라 발생통계를 절기/주별 단위로 제공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통계자료 그래프
  • 구분(전체)
  • 전체
  • 2022
  • 36주
  • 37주
  • 38주
  • 39주
  • 40주
  • 41주
  • 42주
  • 43주
  • 44주
  • 45주
  • 46주
  • 47주
  • 48주
  • 49주
  • 232
  • 217
  • 265
  • 265
  • 242
  • 277
  • 271
  • 245
  • 233
  • 249
  • 247
  • 223
  • 213
  • 229
  • 2022
  • 2023
  • 50주
  • 51주
  • 52주
  • 53주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10주
  • 254
  • 248
  • 236
  • 238
  • 261
  • 238
  • 210
  • 216
  • 218
  • 241
  • 219
  • 245
  • 238
  • 260
  • 2023
  • 11주
  • 12주
  • 13주
  • 14주
  • 15주
  • 16주
  • 17주
  • 18주
  • 19주
  • 20주
  • 21주
  • 22주
  • 23주
  • 24주
  • 312
  • 403
  • 491
  • 447
  • 483
  • 552
  • 507
  • 450
  • 459
  • 470
  • 408
  • 400
  • 351
  • 290
  • 2023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26주
  • 27주
  • 28주
  • 29주
  • 30주
  • 31주
  • 32주
  • 33주
  • 34주
  • 35주
  • 400
  • 351
  • 290
  • 327
  • 366
  • 389
  • 320
  • 393
  • 350
  • 356
  • 320
  • 325
  • 298
  • 329
이전
다음
  • 구분(전체)
  • 전체
  • 2023
  • 36주
  • 37주
  • 38주
  • 39주
  • 40주
  • 41주
  • 42주
  • 43주
  • 44주
  • 45주
  • 46주
  • 47주
  • 48주
  • 49주
  • 290
  • 271
  • 253
  • 281
  • 247
  • 267
  • 249
  • 306
  • 309
  • 291
  • 317
  • 382
  • 398
  • 416
  • 2023
  • 2024
  • 50주
  • 51주
  • 52주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10주
  • 11주
  • 385
  • 385
  • 392
  • 390
  • 364
  • 334
  • 305
  • 296
  • 294
  • 257
  • 174
  • 175
  • 163
  • 208
  • 2024
  • 12주
  • 13주
  • 14주
  • 15주
  • 16주
  • 17주
  • 18주
  • 19주
  • 20주
  • 21주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188
  • 181
  • 215
  • 205
  • 224
  • 211
  • 245
  • 224
  • 230
  • 250
  • 273
  • 232
  • 288
  • 218
  • 2024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26주
  • 27주
  • 28주
  • 29주
  • 30주
  • 31주
  • 32주
  • 33주
  • 34주
  • 35주
  • 273
  • 232
  • 288
  • 218
  • 248
  • 295
  • 278
  • 320
  • 332
  • 343
  • 383
  • 360
  • 351
  • 343
이전
다음
  • 구분(전체)
  • 전체
  • 2024
  • 36주
  • 37주
  • 38주
  • 39주
  • 40주
  • 41주
  • 42주
  • 43주
  • 44주
  • 45주
  • 46주
  • 47주
  • 48주
  • 49주
  • 297
  • 281
  • 262
  • 269
  • 251
  • 265
  • 274
  • 208
  • 260
  • 270
  • 238
  • 277
  • 245
  • 292
  • 2024
  • 2025
  • 50주
  • 51주
  • 52주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10주
  • 11주
  • 257
  • 290
  • 347
  • -
  • -
  • -
  • -
  • -
  • -
  • -
  • -
  • -
  • -
  • -
  • 2025
  • 12주
  • 13주
  • 14주
  • 15주
  • 16주
  • 17주
  • 18주
  • 19주
  • 20주
  • 21주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5
  • 22주
  • 23주
  • 24주
  • 25주
  • 26주
  • 27주
  • 28주
  • 29주
  • 30주
  • 31주
  • 32주
  • 33주
  • 34주
  • 35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전
다음
엔테로바이러스닫기
개요
  • - 엔테로바이러스는 피코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 family)에 속하며, 혈청형에 따라 약 70여종으로 분류
  • - 구조적 특징은 외피가 없고(non-enveloped) 양성의 단일 가닥(positive sensesingle-stranded) RNA 바이러스임
  • - 11개의 바이러스 단백질(viral protein)로 구성 되며 4개의 캡시드(capsid) 구조 단백질 보유
    • VP1, VP2, VP3, VP4, 4가지의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로 구성
    • 엔테로바이러스의 혈청형은 표면단백질 중 VP1의 항원성에 의해 결정, VP1 유전자의 증폭 및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유전형 동정
    • 최근에는 바이러스의 VP1 부위의 유전적 상동성에 근거하여HEV(human enterovirus)-A, B, C, D로 분류
  • -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의 임상적 중요성 때문에 폴리오바이러스와 비폴리오 바이러스(nonpoliovirus)로 분류
    • 비폴리오바이러스에는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group A, group B, 에코 바이러스(echovirus), 다양한 혈청형의 엔테로바이러스 등으로 세 분류
특징
  • - 엔테로바이러스는 비교적 안정된 바이러스로 실내 온도에서 수 일 동안 생존
  • - 감수성 있는 숙주에 들어가면 신속히 번식하여 3~7일 내에 세포병리학적 소견을 보임
국내현황
- 국내에서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무균성수막염의 유행은 1996년 콕사키바이러스 B1형과 에코바이러스 9형, 1997년 에코바이러스 30형, 2000년 엔테로바이러스 71형, 2001년 콕사키바이러스 B5형, 2002년에는 에코바이러스 6형과 9형, 콕사키바이러스 B3형 및 기타 여러 장바이러스에 의해 유행
사스 역학적 특징
  • - 엔테로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감염률은 계절, 지리적 위치, 연령, 사회 경제적인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
  • - 발병은 일년내내 일어나고 특히 온대 지역에서는 여름과 가을에 발병률이 높으며 열대지방에서는 연중 발생
  • - 유행은 재감염에 의하기 보다는 집단에 감수성 있는 사람들에게 감염되어 유행
  • - 사회 경제적인 상태가 낮은 집단에서 감염의 빈도가 더 높은데 이것은 군집생활로 인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서 대변에 의한 오염의 기회가 높은 것과 관련
  • - 전 세계적으로는 주로 영유아 및 소아에서 매년 수백만 명이 감염되며 소아에서 장바이러스 감염은 50% 정도에서 불현성 감염으로 나타남
  • - WHO 보고에 의하면 장바이러스 감염의 3/4는 15세 이하에서 발생하고 미국에서 비폴리오바이러스 장바이러스 감염은 1세 이하에서 가장 높다고 보고
  • - 미국 뉴욕, 로체스터에서 장바이러스 감염빈도는 생후 1개월에 12.8%였고, 증상을 보이는 감염은 생후 2개월이 지나면서 감소
· 유행특성 및 신고주기에 따라 발생통계를 절기/주별 단위로 제공 조회기간 2022~2024년
  • 포진성구협염
  • 급성출혈성결막염
  • 수족구병
  • 무균성수막염
  • 뇌염
  • 심근염
  • 심낭염
  • 확장성심근병증
  • 신생아패혈증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통계자료 그래프
구분 엔테로바이러스
포진성
구협염
수족구병 급성출혈성
결막염
무균성
수막염
뇌염 심근염 심낭염 확장성
심근병증
신생아
패혈증
2022 1446 197 1180 0 55 6 6 0 0 2
2023 1627 853 614 9 131 8 2 3 1 6
2024 1626 277 1044 4 258 18 6 0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