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초미세먼지 : 에어코리아 제공, 날씨 및 기상정보 : 기상청 제공
- 데이터는 현지 사정 및 수신상태에 따라 미수신 될 수 있습니다.
안전라이프 세이프K 일상에서 만나는 재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드립니다.
더보기재난안전 인사이드 매주 생활속에서 꼭 알아야할 재난정보를 알려 드립니다.
-
갑자기 덮치는 ‘너울성 파도’…해안가 안전 위협
전남 여수 거문도 인근에서 낚시하던 40대 남성이 거센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빠졌습니다. 바위를 붙잡고 버티던 그는 15분 만에 해경에 구조됐는데요. 같은 달, 제주 서귀포 해안에서도 낚시객 2명이 파도에 떠밀려 실종됐습니다.
2025.09.23 (10:19) -
리튬 배터리, ‘외형 변형·이상 냄새’땐 위험
지난 7월, 부산의 한 아파트에서 난 불로 80대 어머니와 50대 아들이 숨졌습니다. 불은 집 안에 있던 전기 스쿠터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당시 배터리는 충전이 끝나 충전기와 분리된 상태였지만, 정확한 발화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2025.09.18 (13:37) -
끝나지 않은 더위…‘엔진룸 과열’ 주의
터널 안을 달리던 승용차 보닛에 연기가 치솟더니 앞서가던 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곧 시커먼 연기로 뒤덮인 터널 안에서 운전자들은 차를 버리고 걸어서 대피하는데요. 시뻘건 화염과 함께 차량이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입니다.
2025.09.10 (15:58)
안전톡톡 전문가가 들려주는 재난안전 솔루션!
-
초고층 건물 화재 생존 가이드! 꼭 알아야 할 '히든 구역' KBS LIFE <재난안전119> (25.9.23.) [안전토크] 코너에서는 KBS재난방송전문위원인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이영주 교수가 출연해 터널 화재 사고 사례와 도심 공사 현장 붕괴 사고 사례를 짚어보고, 과거 2010년 부산과 2020년 울산에서 발생했던 고층 건물 화재 사례를 분석합니다. 특히 고층 건물 화재 시 발생하는 외벽 연소 확대의 위험성과 당시 소방 시스템의 한계점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들을 계기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안전 체계가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설명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안전 시스템 수준이 세계적으로도 높은 편임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시민들이 재난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터널 화재 및 초고층 화재 시 행동 요령을 제시합니다. 2025.09.30 (19:28)
-
자연재난이 사회재난으로? 복합재난 시대의 안전전략! KBSLIFE <재난안전119> (25.9.18.) [안전토크]코너에서는 행정안전부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이 출연합니다. 재난의 개념이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복합적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우리가 알아야 할 실질적인 안전 전략을 제시합니다. 행정안전부 사회재난실장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산불, 아파트 화재, 싱크홀 등 다양한 재난 사례를 분석하고, 정부의 대응 노력과 함께 국민 개개인의 실천적 안전 수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이태원 참사 이후 개정된 재난안전법의 핵심 내용과 인파 밀집 사고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은 물론, 어선 사고 시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와 같은 생활 속 안전 습관까지 폭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잡해지는 재난 환경 속에서 나와 내 가족, 이웃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현실적인 지혜와 경각심을 얻고 싶다면 이 콘텐츠를 통해 변화된 재난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대비하는 법을 배우세요. 2025.09.24 (1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