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초미세먼지 : 에어코리아 제공, 날씨 및 기상정보 : 기상청 제공
- 데이터는 현지 사정 및 수신상태에 따라 미수신 될 수 있습니다.
안전라이프 세이프K 일상에서 만나는 재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드립니다.
더보기재난안전 인사이드 매주 생활속에서 꼭 알아야할 재난정보를 알려 드립니다.
-
전기장판, 따뜻함 뒤 숨은 ‘화재·화상’ 위험기온이 갑자기 뚝 떨어지면서 오랜만에 전기장판을 꺼내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따뜻한 온기가 반갑지만, 그 열기 안엔 예상치 못한 위험이 숨어 있는데요. 따뜻하다고 방심하는 사이 나도 모르게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5.11.03 (13:44) -
환절기 호흡기 질환 유행…백신 접종 서둘러야요즘처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환절기에는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이 늘어납니다. 기침과 발열을 동반한 다양한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하기 때문인데요. 특히 ‘독감’으로 불리는 인플루엔자는 전염력이 강해, 해마다 수많은 환자가 발생합니다.
2025.10.28 (9:35) -
밀폐된 텐트 속 난로…3시간 만에 치명적지난 1월 충남 서산의 한 캠핑장에서 50대 아버지와 10대 아들이 텐트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같은 달 경북 구미의 한 캠핑장에서도 40대 여성이 실신하고 10대 자녀 두 명이 구토와 어지럼증을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는데요. 모두 텐트 안에서 추위를 피하려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된 사고였습니다.
2025.10.21 (13:18)
안전톡톡 전문가가 들려주는 재난안전 솔루션!
-
'트라우마'가 '트라우마'가 되지 않으려면? 서로의 고통을 마주한 방법 KBS LIFE <재난안전119> (2025.11.3.) [안전톡톡] 코너에서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홍보위원장인 이해국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출연해 정신건강 문제와 트라우마 극복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이 20년째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현실 속에서 젊은 층의 고립 문제와 정신건강 취약성을 진단하며, 교사, 소방관, 연예인 등 직업군별로 겪는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조명하고, 지연성 PTSD를 비롯한 트라우마의 복잡한 양상과 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또, 정신의학과 진료에 대한 편견 해소와 직장 내 패스트 트랙 시스템 마련 및 마인드런 페스티벌과 같은 사회적 활동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025.11.06 (13:29) -
[이태원 참사 3주기] 서울 전역에 울린 추모 사이렌 그날 국가는 어디 있었나? KBS LIFE <재난안전119> (25.10.29.) [안전톡톡] 코너에서는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인 호남대 문현철 교수가 출연해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이하여 당시 국가의 대응 부재와 재난 안전 시스템의 작동 실패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재난 방지 시스템 개선 방향과 최근 사회적 이슈인 캄보디아 초국가적 범죄 기업 실태까지 다룹니다. 대한민국의 재난관리 시스템이 왜 참사 현장에서 작동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재난의 징후와 조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 지자체 차원의 지역안전관리 시스템이 완전히 무너진 점을 주요 문제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군중 밀집 사고의 재난 분류 이후 제도적 변화와 함께, 출퇴근 시간 지하철 역사에서의 인파 밀집 위험성을 분석하며 일상 속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더불어, 고소득 알선에 현혹되어 캄보디아 범죄 단지에 연루된 한국 청년들의 비극적인 실태와 이에 대한 정부의 국제적 대응 노력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2025.11.06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