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끝자락이지만, 낮 기온은 여전히 30도를 웃돌며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길어진 여름 더위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건강에도 위협이 될 수 있는데요.
더위에 체온과 혈압이 급변하면서 우리 몸속 혈관에도 부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여름철 가장 조심해야 할 혈관 질환은 바로 ‘뇌경색’인데요.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면 우리 몸속에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혈전, 즉 ‘피 찌꺼기’가 쉽게 생깁니다.
이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 조직을 손상시켜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는 건데요.
[박민근/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 : "여름철 무더운 날씨가 되면서 땀이 많이 분비되고 이로 인해서 탈수가 진행되면 체내에 혈액이 끈적끈적해지면서 점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요.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크게 발생함으로 인해서 이 또한 혈액순환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처럼 평소 혈관이 약하거나 목마름을 잘 느끼지 못하는 고령층이라면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요.
나이가 들면 뇌의 ‘갈증 신호’가 둔감해지고, 또 신장이 수분을 저장하는 기능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웅우/서울 노원을지대병원 뇌졸중센터 신경과 교수 : "혈관 건강은 나이에 매우 큰 영향을 받거든요. 혈관 자체가 나이가 들면 마치 이제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듯이 혈관 탄력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고령 자체가 혈관을 딱딱하게 만들어서 그것 때문에 뇌졸중이 잘 생기게 되고요. 나이가 또 당뇨나 고지혈증 같은 다른 만성 질환의 위험인자이기도 합니다."]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의 경우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보다 사망률은 낮지만 신체 마비, 언어 장애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데요.
그래서 골든타임, 즉 빠른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박주형/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응급의학과장 : "아직도 많은 분이 뇌경색 증상이 나타났을 때 손발을 주무르거나 손을 따거나 설탕물을 먹이는 등 집에서 무언가를 해보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연은 돌이킬 수 없는 뇌 손상과 심각한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뇌경색 의심 증상들로는 말이 어눌해지거나 팔다리 힘이 빠지거나 얼굴 마비,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 증상이 전형적이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의심스럽다면 일단 119를 통해 응급실로 오셔야 합니다."]
전조 증상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질 수 있지만, 며칠 내에 치명적인 뇌경색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요.
그러므로 작은 증상이라도 절대 가볍게 넘겨선 안 됩니다.
[박민근/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 : "증상에 따라서는 단순한 이제 어지럼증이나 두통 같은 증상일 수도 있지만 고령의 환자가 여러 가지 위험인자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에는 뇌경색과의 감별이 필요할 수 있고,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다시 이제 증상이 악화하면서 뇌경색이 재발할 수 있는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전문적인 진료를 보시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뇌경색은 막힌 혈관을 최대한 빨리 뚫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증상이 시작된 지 3시간 안에 치료받아야 90% 이상이 일상으로 회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을 느꼈다면 스스로 운전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말고, 바로 119에 연락해야 하는데요.
그래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뇌경색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즉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